플라톤의 '티마이오스'와 기독교 우주관

조송현 승인 2017.02.05 00:00 | 최종 수정 2018.07.27 10:16 의견 0

 

플라톤과 콘스탄티누스 황제 두상. 그는 로마황제로서 313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유럽에 기독교 우주관이 뿌리내리는 데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했다. 출처: Pravmir
플라톤과 콘스탄티누스 황제 두상. 그는 로마황제로서 313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유럽에 기독교 우주관이 뿌리내리는 데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했다. 출처: Pravmir

12세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새롭게 발견되기 전까지 유럽의 우주관은 기독교의 성서(창세기)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토대를 두고 있었습니다. 여기에는 초월적 창조주인 ‘데미우르고스’가 영원의 ‘이데아’로부터 세계를 질서정연하게 창조했다는 창세 신화가 등장합니다. 『티마이오스』에 나오는 이 신화는 천지창조를 데미우르고스의 의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연에서 신(神)의 계시를 읽는 기독교 입장에서는 비교적 받아들이기 쉬운 것이었습니다.

그리스 철학적 전통 단절한 로마제국, 기독교 수용 ... 기독교적 세계관 중세 지배  

서양에서 최초로 철학을 탄생시킨 고대 그리스는 기원전 146년 카르타고의 멸망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그리스의 학문적 전통이 쇠락하면서 인류의 우주관과 세계관도 큰 변화를 맞게 됩니다. 그리스 시대에는 인간의 본질과 우주의 근원에 대한 탐구가 활발했습니다. 그리스 철학은 밀레토스의 탈레스와 크리톤의 피타고라스학파에서 시작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러 만개했던 것이지요.

그러나 그리스를 이어 지중해의 패자가 된 로마제국은 그리스의 철학적 전통을 계승하지 못했습니다. 강력한 정치 체제를 구축한 로마는 과학을 포함한 학문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던 것입니다. 다만 토목, 건축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보였을 뿐이지요. 영국의 철학자 버틀런트 러셀은 “로마인들은 어떤 예술형식도 창안하지 못했다.”고 평했습니다.

이런 풍토에서도 국민들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통치철학이 필요한 법이지요. 게다가 그리스의 철학도 ‘인간은 왜 죽는가?’와 같은 근원적인 물음에 해답을 주지는 못했습니다. 이것이 기독교가 유럽에 뿌리를 내리는 토양이 되었습니다.

세계사에서 로마제국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바로 기독교를 공인하고 보급한 것입니다. 로마제국 초기에 많은 탄압을 받았던 기독교는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 때 공인되고, 데오도시우스 1세 때는 로마제국의 국교로 인정받기(392년)에 이릅니다. 이렇게 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이 유럽의 중세사회를 지배하게 됩니다.

물론 그리스가 패망하면서 철학적 전통이 곧바로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그리스 아테네에 있던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은 529년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에 의해 폐쇄될 때까지 학문의 요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과학은 로마에서보다 비잔티움에서 더 깊이 뿌리를 내렸습니다. 플라톤의 수학적 우주관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적 우주관을 통합한 고대 그리스 우주관이 그 무렵까지 전개되고 있었습니다. 지구 위 하늘(우주)은 아홉 개의 투명한 수정천구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첫째 수정천구는 달을, 둘째 수정천구는 수성을, 셋째 수정천구는 금성을, 넷째 수정천구는 태양을 운반하고... 여덟 번째 수정천구는 항성을 운반하며, 아홉째의 수정천구는 종천구(Primum Mobile) 혹은 종동천(宗動天)이라고 가정했습니다.

플라톤의 창조주 데미우르고스 ... 기독교의 창조주 신(하느님)

이들 아홉 개의 천구는 돌려주는 힘을 가진 존재인 추동자(推動者)가 필요했습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 따르면 이들 추동자는 힘을 받는 천체보다도 더 한층 고귀하고 정신적인 것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즉 플라톤은 천상세계에 정신의 위계질서가 있다고 가정했던 것입니다. 달의 천구인 제1천구에서 종천구인 제9의 천구로 갈수록 고귀하다는 것이지요.

천구를 돌려주는 힘은 반대로 작용합니다. 즉, 제9의 천구는 제8의 천구를 돌려주고, 제8의 천구는 제7의 천구를 돌려주고...제2의 천구는 제1의 천구인 달의 천구를 돌려주는 추동자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제9의 천구, 즉 종천구를 돌려주는 추동자는 무엇일까요?

플라톤은 『티마이오스』에서 우주의 창조주 데미우르고스가 완전한 자신을 닮은 세계를 창조했다고 적고 있습니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 우주는 영혼을 가진 살아 움직이는 세계입니다. 그리고 천체는 고귀한 정신에 의해 질서 있게 움직입니다. 그러니까 플라톤의 우주관은 비록 신(神)이라는 표현을 하지는 않았지만 절대자(데미우르고스)를 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경의 창세기와 본질적인 면에서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플라톤의 우주관은 기독교가 확산되면서 종교적 색채로 덮이게 됩니다. 기독교 입장에서 플라톤의 우주관은 수용하기 쉬웠습니다. 창조주 데미우르고스를 기독교의 신(하느님)으로 바꾸기만 하면 되었기 때문입니다.

천체의 운행을 가능케 하는 추동자에 대해선 플라톤의 고귀한 정신 대신에 ‘천사’를 그 자리에 앉혔습니다. 플라톤의 전통을 이어받은 디오니시우스(Dionysius)는 천사를 등장시켜, 천구의 추동자로 상정했습니다. 그는 천사에게 아홉 단계의 위계를 부여해 각 등급의 천사들이 아홉 개의 수정천구를 운행케 하는 추동자로 해석했습니다.

수정천구를 움직이는 힘은? 플라톤: 고귀한 정신 --- 기독교: 천사 

디오니시우스에 따르면, 그것은 마치 이 세상의 교회에도 대주교 주교 등 일정한 등급이 존재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러므로 우주는 우주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신을 비롯하여 지구의 중심에 있는 지옥의 최하급의 미물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연쇄를 이루고 있습니다. 어느 계급의 최상위는 그 위 계급의 최하위에 바짝 이어져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플라톤의 우주관에 동방의 유대 사상을 절충한 신플라톤주의(사상)가 등장하게 됩니다. 신플라톤주의는 신비적 직관과 범신론적 일원론을 주장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프톨레마이오스의 천체이론이 기독교 신학으로 치장된 것은 동방 기독교권에서였습니다.

<'우주관 오디세이' 저자ㆍ인저리타임 편집위원장>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