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철 교수의 '삶의 반음 미학' - (70) 음악을 더욱 애절하게 하는 화음
박기철 교수의 '삶의 반음 미학' - (70) 음악을 더욱 애절하게 하는 화음
  • 박기철 박기철
  • 승인 2021.04.13 13:00
  • 업데이트 2021.04.13 1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열하게 연구되며 시도되었던 변성화음
치열하게 연구되며 시도되었던 변성화음

음악에서 흔히 쓰이는 코드가 1950년대 무렵 미국에서 재즈 뮤지션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추정한다지만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과 같은 천재 음악가들이 코드라는 개념을 몰랐을 리 없다. 다만 우리가 쓰는 C D E F G A B와 같은 알파벳 코드 이름을 쓰지 않았을 뿐이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네아폴리탄 6화음이라고도 불리는 Napoly 6화음(N.6), Italy 증6화음(It.#6), France 증6화음(It.#6), Germany 증6화음(It.#6) 등이다. 이 역시 요술과 같은 반음의 마법을 통한 절묘한 화음이다. 아직도 피아노를 연주하는 클래식 뮤지션이 쓰는 화음이다.

재즈 뮤지션들이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를 대체하는 세컨더리 도미넌트 등 여러 가지 코드들을 사용했다면 클래식 뮤지션들은 이러한 화음들을 사용함으로서 더욱 애절하게 들끓는 감정의 진폭을 늘이며 진행의 에너지가 강하도록 화음을 만들었다. 나폴리, 이태리, 프랑스, 저머니 등의 지역이나 국가이름을 쓴 변성화음이다. 딸림화음(V7)으로 가며 으뜸화음으로 가는 화성적 장치들이다. 음악 감상자들을 묘하게 감동시킬 수 있었던 이유다. 참 멋지다.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kaciy@hanmail.net>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