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지연못
박홍재
길손도 시원 찾아 정수리 더듬는다
낙동강 천삼백 리 첫발을 딛는 여기
뉘라서 태백에 와서 고개 기웃 않겠는가
길이야 멀다 해도 가다 보면 닿을 것을
가면서 굽이치는 아리랑 저 곡조를
물굽이 모롱이 돌며 적시면서 흐른다
- 시조집 《바람의 여백》(2022년 세종도서 선정)에서

<시작 노트>
무엇이든지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옮아간다.
낙동강 줄기가 1,300리를 이어오는 첫 출발지이다.
그곳이 태백의 황지연못이다.
삶도 역시 작은 마음이 일어나서 자꾸만 키워나간다.
황부자와 며느리의 애달픈 사연을 담고 있는 황지연못.
시원에서 하구언까지 굽잇길에서
얼마나 많은 골짜기와 사람들을 만나며 흐르는가.
그 사연을 들어보면 역사가 되고 서사가 된다.
물굽이를 따라 흐른다.
아리랑 노래를 부르면서.

◇박홍재 시인
▷경북 포항 기계 출생
▷2008년 나래시조 등단
▷나래시조시인협회원
▷한국시조시인협회원
▷오늘의시조시인회의회원
▷세계시조포럼 회원
▷부산시조시인협회 부회장(현)
▷시조집 《말랑한 고집》, 《바람의 여백》
▷명소 기행(포토 에세이) 『길과 풍경』
▷부산시조작품상 수상
▷2022년 세종도서 선정(《바람의 여백》)
▷인저리타임 객원기자 taeyaa-park@injurytime.kr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