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주거 형태
조한일
시를
읽으면서
낯선 걸 끌어안고
시를
쓰면서
익숙한 걸 버리며
시인은
시를 담보로
시집에 세 들어 산다
창문밖에는 생명이 꿈틀거리는 바다가 일렁이고, 담장 밑에는 고개를 숙여야만 보이는 작은 풀꽃이 스며있을지도 몰라. 나비의 날갯짓 같은 이야기도 놀다 가고, 무거운 발을 들이미는 그늘의 곁에는 까슬까슬한 햇살 밥상이 놓여 있다면 참 좋겠다. 마음의 크기에 따라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탄력성이 충만한 집, 늘 살아왔던 집이지만 싫증이 나지 않는 집, 그런 집에 세 들어 살고 싶어진다.
◇김석이 시인
▷2012 매일신문신춘 당선
▷2013 천강문학상, 2019 중앙시조 신인상 수상,
▷시조집 《비브라토》 《소리 꺾꽂이》 《심금의 현을 뜯을 때 별빛은 차오르고》
단시조집 《블루문》 동시조집 《빗방울 기차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