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오 국민솔라(주) 대표와 김유상 (주)한국에너지거래 대표가 29일 「국민솔라프로젝트 공동추진 협약서‘를 교환하며 악수하고 있다. [국민솔라(주) = 제공]

‘제4섹터 방식 시민주도 지역에너지 공공개발’ 정책사업화를 위한 시민에너지기업인 국민솔라(주)(대표 김대오, 이하 ‘국민솔라’)가 지난 29일 부산 중구 중앙동 한국에너지전환사업단 대회의실에서 (주)한국에너지거래(대표 김유상, 이하 ‘한국E거래’)와 "‘국민솔라 프로젝트’ 공동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주요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RE100 지원 체계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한국E거래는 재생에너지 거래와 탄소감축 인센티브 설계 분야를 선도하는 에너지기술 전문기업이다. 협약에 따라 국민솔라가 추진하는 전국 공공주차장, 공공건물, 산업단지 등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RE100(사용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 수요기업에 공급하기 위한 최적화된 매칭시스템 구축과 운용 역할을 맡게 된다.

김대오 국민솔라 대표는 “이번 협약은 국민솔라가 향후 ▲한국전력을 통한 매전 외에도 ▲부지제공기관‧기업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는 직접 PPA 방식, ▲삼성·SK 등 전국의 RE100 수요기업에 전속 공급하는 방식 등 다양한 전력 공급 채널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는 시민손으로 만드는 국민솔라 발전소가 분산형 에너지 시대의 핵심 전력 공급망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밝혔다.

김유상 한국E거래 대표는 “국민솔라 프로젝트는 시민이 주도하는 재생에너지 생산을 통해 지역 자립경제 회복과 수익공유화 실현을 추구하는 공익형 모델로서 우리 모두가 함께 완성해야 할 프로젝트”라며, “당사는 보유한 기술력과 자원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이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적극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산에서 시작된 국민솔라 프로젝트는 시민그룹을 대표하는 사회적경제기업이 주관하는 제4섹터 방식의 재생에너지 확충 모델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태양광·풍력 등 공유자원을 활용해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그 개발수익의 최소 30~50%를 햇빛배당 또는 에너지 기본소득 등의 형태로 지역에 귀속토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는 재생에너지 개발 전문 사회적기업인 한국에너지전환사업단을 중심으로, 부산경제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사)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 부산불교환경연대 등 60여 개의 사회적경제조직 및 시민사회단체가 함께 추진 중이며, 이재명 국민주권정부가 추진 중인 ‘에너지 기본소득’과 ‘재생에너지 강국화’ 정책기조에 가장 부합하는 실행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 대표기자>